육아휴직 제도, 선진국은 기업이 근로자에게 설명하지만 한국은 근로자가 기업인 사용자에게 허락을 구하는 구조
육아휴직 제도의 정착은 아직도 멀었다.
미국 뉴욕주는 2017년 제정된 유급 가족 휴가법에 따라 기업이 근로자를 대상으로 가족의 출산, 입양 그리고 위중한 건강상태 등이 있는 근로자는 12주간의 유급 휴가를 사용할 수 있다고 알려야 하며 기업은 근로자가 근로기간 6개월 이상이면서 주간 20시간 이상이면 급여의 67%를 지급해야 한다.
일본도 노동자 복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 가족이 임신, 출산 등이 있다고 알리는 경우 기업체는 해당 근로자와 면담을 실시하여 육아휴직 제도를 알리고 본인의 의사를 청취해야 한다. 그리고 기업은 육아휴직, 간병휴직 등을 사용한 근로자에 대하여 휴직 이후 임금, 배치 그 밖의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을 근로자에게 미리 알려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반면에 한국은 미국과 일본처럼 기업이 근로자에게 육아휴직 제도에 대하여 알려주는 곳도 있지만 대부분은 해당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신청하고 기업의 인사 담당자를 설득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제도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용노동부의 2021년 일과 가정의 양립 실태에 관한 사업체 조사에서 '출산전후 휴가 제도'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답한 기업체 비율은 58.1%로 겨우 절반을 넘기고있고 "모른다"는 답변도 6.6%나 된다. 남성의 근로자가 청구하면 10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하는 '배우자 출산 휴가제도'에 대하여 "모른다"는 답변이 18.7%로 제도가 시행하고 있는지도 모르고 있는 기업이 아직도 많이 있다.
특히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 임신여성인 근로자가 임금을 종전과 동일하게 받으면서 근로시간을 하루 2시간 단축하는 제도인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에 대해 "모른다"라는 답변이 15.2%나 되었고 사용자가 "모른다"로 답변이 가장 많은 제도는 근로자가 난임치료를 위해 신청하는 '난임치료 휴가제도'로 무려 46.4%가 "모른다'로 되어 있다.
<저작권자 ⓒ 보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영미 기자 다른기사보기